- 한국방송예술진흥원 '방송 연예·연기'전공은 '실전연기자' 양성에 의의를 두고 있다. 단순 대사연기의 반복이 아닌 한 명의 예술가이자 연기자가 될 수 있도록 훈련,공연,촬영 등의 활동을 병행한다.
- 연기자는 '기술'과 '상상력', '감성'이 공존해야 하며 이를 올바른 방향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작품에 참여하여 본인의 성장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방송 연예·연기 전공은 TV, 방송, 영화, 연극, OTT 등 다양한 범위와 현장에서 활동 할 수 있도록 전문가적인 태도와 기술을 훈련하고 학습합니다. 타 대학과 차별화되는 실전위주의 훈련과 제작배경으로 모든 학생들이 연간 3개 이상의 작품에 참여하도록 하며 졸업 후 현장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합니다.
1) 기초연기(훈련)
- 호흡 : 음성언어, 행동언어의 근간이 되는 호흡을 이해하고, 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발성 : 올바른 소리의 발생과 사용을 깊이있게 연구하고 훈련한다.
- 화술 : 화술은 말하기의 기본이 된다. 좋은 화술은 대화를 기분좋게 하고, 연기에 연속성을 준다.
- 움직임 : 연기를 행함에 있어 자유로운 움직임은 필수적이며 이를 훈련을 통해 강화한다.
2) 심화훈련
- 극작(대사/단막극/희곡) : 희곡작성, 드라마&영화 시나리오 작성을 통한 대본분석력 강화
- 연출(장면/연극/영화) : 연출의 눈을 통한 연기력 향상
3) 실습훈련
: 연극 제작 / 웹드라마 제작 / 단편영화 제작
4) 실전 준비
: 한명의 예술가(연기자)로 활동하기 위해 본인만의 장점을 찾고, 극대화시킨다.
5) 방학 워크숍
: 연극공연, 단편영화&웹드라마 촬영 등 수업 외 작품활동을 진행.
6) 전담동아리 운영
: 담당교수가 직접 관리하는 동아리로 수업 외 코칭, 피드백, 작품활동으로 연기자로서의 성장을 준비한다.
학점인정과정 (평가인정학습 과목) |
---|
|
비학점인정과정 (전공심화 과목) |
---|
|
공채 방송국 성우, 이벤트 행사진행 MC, VJ, CF 더빙 성우, 영화, 애니메이션 더빙 성우, 인형극 성우, 기업홍보물 더빙 성우, 프로그램 내레이션, 인터넷방송 BJ, 인터넷 리포터, ARS 녹음 성우, TV연기자, 모바일 방송 BJ 등